|
“나 먹보 아냐~억울해” 배스가 할복했다. |
|
|
‘호수의 폭군’으로 알려진 외래어종 배스가 먹이를 찾지 못해 굶주리는 등 국내 생태계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사실은 국립수산과학원과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자들이 2003~2005년 배스를 30여년 전 처음 방류한 강원도 철원군 토교지와 팔당호에서 배스의 식성을 조사한 결과 밝혀졌다.
민통선 안에 있는 토교지에서 지난해 5월 내수면생태연구소 연구자는 루어낚시로 잡은 배스의 위 내용물을 보고 깜짝 놀랐다. 길이 40㎝의 대형 물고기 위 안에 고작 다슬기와 수서곤충이 한 마리씩 들어 있었다. 다른 배스들이 먹은 것도 보잘것없기는 마찬가지였다. 비슷한 크기의 배스에선 벌 한 마리가 나왔고, 49㎝ 길이의 대형배스는 다른 외래어종인 블루길 한 마리를 잡았을 뿐이었다. 놀랍게도 채집한 91마리 가운데 절반 가까운 45마리는 공복 상태였다. 이 기간에 팔당호에서 채집한 배스 389마리 가운데 47.8%인 186마리도 위가 비어 있었다.
그 동안 배스는 토종물고기의 씨를 말린다는 혐의를 뒤집어썼지만 이번 조사 결과는 달랐다. 토교지에서 배스의 가장 중요한 먹이는 잠자리 애벌레 등 수서곤충이 40%를 차지했고 다슬기 등 연체동물이 23.8%, 물고기는 17.5%에 그쳤다. 팔당호에서 어류는 36.9%로 먹이 가운데 가장 많았지만 수서곤충·육상곤충·연체동물·새우류 등 다른 먹이를 합치면 절반이 넘었다.
연구책임자인 내수면생태연구소 이완옥 박사는 식성조사 결과에 대해 “배스가 무법자처럼 수중 생태계를 교란하고 있다는 통념과는 달리 힘겹게 환경에 적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장기적으로 숫자가 줄어들어 생태계 일원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팔당 쪽 조사를 담당한 한강물환경연구소 변명섭 박사는 “경안천 쪽에는 가시납지리와 몰개의 치어가 풍부해 배스를 잡았을 때는 이미 다 소화됐을 수도 있다”면서도 “팔당호의 먹이구조가 건강한 편이 아니어서 굶주렸을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그는 배스보다는 최근 인공호수 대부분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는 대형 토종 육식어종인 강준치가 오히려 생태계에 더 위험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팔당호에는 2004년 조사에서 강준치가 29%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현재도 증가 추세다. |
그걸 연구한게 팔당호소 생태조사 자료거든요!
맞습니다.
배스가 늘지 않았습니다. 블루길도 늘지 않았습니다.
지금 둘 다 지는해 입니다.
그 이유는 해수부의 활약 때문이죠.
팔당호 인근의 배스를 소탕하기 위하여,
경기도에서는,
2004년에 29톤, 2005년에 41톤을 수매하였답니다.
지금 파로호에서 수매하는 양이 고작 6톤인 점을 감안한다면 얼마나 많은 양인지 쉽게 알 수 있죠.
그런데 환경부 조사보고에는 배스가 안정권에 접어들었다고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환경부 작성 보고서의 예산은 환경부에서 나오고 있고,
배스 수매자금은 해수부에서 나오고 있으니 그 부분은 환경부에서는 알 리가 없는 것이죠.
이 점을 모르는 상태에서 보고서를 제출하는 보고자가,
팔당호의 배스가 줄어들었다고 발표하면 줄어든게 되는 것이랍니다.
그 조사가 누구의 손에 의해서 되었느냐도 중요합니다.
KSA의 두분의 영원한 후원자께서 조사했습니다.
그중 한분 왈,
지금 그만큼 수매한 상태에서도 일부지역에서는 배스와 블루길이 80~90%를 점유하는 곳도 있다고 실토를 하시더군요.
공복이 많은건 당연한 일이라 생각됩니다. 사람은 하루에 세끼의 식사를 합니다만, 이런 세끼니 문화가 정착된것도 고작 2천년도 안됩니다. 그 이전가지만 해도 사람 역시 하루에 두끼니 정도를 먹었다고 합니다. 아침을 먹고, 저녁때가 되면 당연히 공복이 됩니다.
더구나 육식동물의 특성상 장시간의 소화는 부패의 염려 등으로 매우 불리해서 시간을 줄이는 강한 소화액이 나오게 됩니다. 큰 먹이가 덜 소화된 것이라는 상식과는 달리, 먹이의 종류가 소화의 시간을 결정하기 쉽습니다. 키틴질이 많은 먹이는 소화속도가 느리고, 육류는 빠르게 소화되는게 보통입니다.
채집의 방법이 루어낚시에 의했다고 하는 부분도 눈여겨 보아야 할 것입니다. 사냥의 의욕이 있는 녀석들을 위주로 배가르기 작업이 진행되었다고 하는데 배부른 녀석들이 사냥에 적극적일 리 없습니다.
지난번 횡성에서 채집활동을 위한 전제조건을 보니 무척 까다롭더군요. 저녁에 설치한 그물에서 아침에 정해진 피딩타임이 지나고 재빨리 꺼내어 배를 갈라야 한다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그래도 확률은 반반이라고 하더군요.
우리의 상상처럼 늘 뱃속에 먹이를 갖고 있다면 모를까 저녁에 걸린 녀석들은 죽지 않는다면 대부분 뱃속의 물고기가 소화되기 때문에 아침에 배를 갈라봐야 나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물론 어류박사님과 함께 하니 재미있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소화의 방법에 대한것 까지 나왔었는데, 물고기가 한쪽으로 말려 꺽여들어간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나머지가 이후에 소화가 된답니다.
어류의 배를 갈라서 먹이가 나오는 것을 보고 식성은 파악할 수 있지만, 우리가 기대하는 것처럼 당장 물고기가 튀어나오지는 않는게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공복이 많은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니, 그걸 보고 폭식성이 아니라고 주장하는게 오히려 말이 안되는 것인데, 폭식성에 대한 일반인의 기대치가 너무 높아서 당장 먹잇감이 뱃속에서 나올 것이라 기대하기 때문에 저런 데이터를 보면 오히려 일반인들이 오해를 한다는 것입니다.
대략 배스의 식성이 1년에 자기 몸무게의 10배라고 본다고 하니, 2kg의 배스가 하루에 먹는 양은 55g에 불과하니 이 양이란게 작은 카스테라 한봉지의 반도 안됩니다. 카스테라를 한번 주물러 보시면 그 양이 얼마만한지 잘 아실겁니다. 주먹 하나에 들어오는 양인데, 그것을 하루 두번 사냥으로 나누어 본다면 정말 얼마 안됩니다. 그러나 일년을 기준으로는 20kg이라는 많은 양이 되는 것이니, 우리의 혼동일 뿐, 배스가 폭식가라는 사실을 부정하는 내용은 될 수 없습니다.
저 발표에 참여한 두 분이, 한국스포츠피싱협회의 전직 고문, 부회장이며 영원한 후원자 칭호를 듣고 계시고, 또 대회때에 프로와 동승하여 낚시를 즐기고 계시고, 한분은 갖은 낚시 도구를 선물받아 즐거워하고 계시다는 점을 참고하시면 될 것입니다. |